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[펌] 영양학자 우수님 / 2011년 강의

by 에이라인 2024. 7. 12.
반응형

https://url.kr/Q1Ub6P

 

일반인의 영양학 정보 ~[펌][펌][펌][펌][펌]

대한민국 모임의 시작, 네이버 카페

cafe.naver.com

 

 

 

※이것은 보디빌더나 운동을 아주 많이 하는 분들이 아닌 일반인을 상대로 말씀드리는 것입니다※


◆주제1. : 일반인은 어떻게 먹어야 할까?


- 먼저 운동이나, 병에 걸리거나, 장기간의 기아(굶는것)는 우리몸에 스트레스 호로몬을 분비하지만,

결론적으로 체계가 완전하게 다릅니다.


그리고 굶으면서 운동을 하면 케톤체가 생기는데 이런 현상이 있을 때 포도당을 섭취해 주면 좋다고

하는데 "개소리"입니다. (케톤체 : 속에서 쉰내올라오는것, 탄수화물이 부족할때 생기는 물질)

 글루타민을 가장 먼저 에너지로 사용합니다
글루타민을 먼저 쓰고 나서 포도당을 쓰게 됩니다

우수~님이 가장 강조했던 부분중에 하나는 글루타민+류신입니다
(류신 : 아미노산종류, BCAA에 들어있음)


★ 운동중간! 에는 글루타민과 당분을 물에 많이 희석하여 드시면 좋습니다(전해질음료(게토레이)+물)

희석을 하는 이유 : 강한 농도는 삼투압때문에 급사를 유도한다(조심!!)


★ 포도쥬스! 는 GI가 바나나보다 적다. (설탕의 GI는 생각보다 적다)

(GI : Glycemic lndex라고 하여 탄수화물에 들어있는 당질의 양)


- 운동을 하게 되면 우리몸에 젖산시스템이 작용합니다
이 젖산은 곧 에너지로 전환됩니다! (젖산은 에너지로 쓰여지면서 지방을 같이 쓰게 됩니다)

★ 운동을 할때는 최종적으로 젖산을 쌓는데에 목적을 두어라~!


☆Point 근육을 잃지 않는것~!

체중의 반의 당질
체중의 1/3 (삼분에 일) 의 단백질을 섭취해준다
그리고 류신, 글루타민, 오메가3형 불포화지방산 (그 밖에 지방은 섭취하지 않는것이 좋음)

여기서 오메가3는 근육을 위축시키고, 감소하는 과정을 줄인다는 논문이 기제되었습니다.
장기회복에는 좋지만 근육의 성장은 막는다..



◆주제2 : 아침의 공복 유산소는 지방소비에 좋을까?

- 아침에 공복상태로 운동을 하게되면 스트레스 호로몬인 "코티졸"이 나와서 근육을 극단적으로 소비하게 된다! (결론은 밥먹고 운동해라!)

- 아침에 탄수화물을 많이 먹어주면 하루 중의 식욕상승을 그렐린으로 측정한결과 식욕상승이 되는것을 막아 결론적으로 2시간마다 포만감이 채워지는 것으로 나타났다.

(24시간동안 식욕상승이 언제 있는지 보는 그레프곡선)


★ 플라시보효과(위약효과) : 엔돌핀을 증가시킴, 마인드컨드롤이 중요하다.
엔돌핀이 나오면 인슐린을 상승시키고, 결론적으로 지방소비에 효과적이다~!

(플라시보효과의 예 : 환자에게 종함비타민을 주면서 진통제라고 하면, 실제로 환자가 진통제를 맞았다고 생각하여 아프지 않음)


주제3 : 우리가 알고 있는 보충제의 효능

- 대용량으로 파는 보충제는 안좋다.
→ 나쁜성분, 즉 검증이 되지 않은 성분이 많다.
또 복합제품을 비추.. 단일제품을 쓰도록 한다.

그리고 굿닥에서 나온 벌크틴은 구입해서 조사해본 결과, 아무 문제 없고 괜찮았습니다.
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★ 박신희가 개인적으로 물어본 질문

1. BCAA와 글루타민을 같이 먹으면 지방소비에 효과적이단 말은 근거 있는 말인가요?

- 네 그렇습니다. 지방대사경로에 부스터자용을 합니다



2. 계란에는 탄수화물, 지방, 단백질, 비타민등 여러가지 좋은 성분이 많은데.. 계란을 먹으면 안좋은 콜레스테롤이 많아서 고혈압을 유발하고 각종 심혈관질환을 야기한다는 논문은 사실인가요?

- 계란에는 좋은콜레스테롤과 나쁜콜레스테롤이 둘다 많아요, 나쁜콜레스테롤이 좀 더 많긴하지만, 계란에 들어있는 콜레스테롤때문에 고혈압같은 병들이 유발된다는 논문에는 반론이 많습니다.

(결론은 그냥 먹어라)

(좋은콜레스테롤HDL : 혈관에 쌓인 콜레스텔롤을 없앤다, 나쁜콜레스테롤lLDL : 혈관에 끈적끈적하게 붙어서 쌓이며서 혈액순환을 막는다)

3. 운동할때 나오는 코티졸은 어디까지나 스트레스 호로몬이기에 인체에 유해한데, 그래도 코티졸이 생기는 것을 감수하면서 운동하는 것이 결과적으로 좋다는 말씀인가요?

- 운동을 하게 되면 아드레날린이 분비되고, 그럼 엔돌핀이 나와서 코르티졸(코티졸)도 막힌다.

(아드레날린 : 흥분호로몬, 심장의 강화로 혈압이 상승하는 호로몬)



728x90
반응형

댓글